2025년 4월 19일 밤, SK텔레콤에서 유심(USIM) 관련 고객 정보 일부가 악성코드에 의해 외부로 유출된 정황이 발견되었습니다. 국내 최대 이동통신사 중 하나인 SK텔레콤에서 발생한 이 사건은 사용자층에게도 매우 민감한 이슈입니다. 통신 서비스는 물론 금융인증, 건강보험, 은행 업무 등 일상 생활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. SK텔레콤은 현재까지 유출된 정보가 실제로 악용된 사례는 없다고 밝혔지만, 선제적 대응을 위해 여러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,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한 무료 유심보호서비스도 제공 중입니다.
유심 정보 유출이란 무엇인가?
▶ 유심(USIM)이란?
USIM은 '사용자 인증 모듈'로서, 스마트폰 내에 장착되는 작은 칩입니다. 이 안에는 휴대폰 번호, 가입자 정보, 인증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어, 본인 인증 및 통신 서비스 이용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. 따라서 유심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면, 타인이 내 명의로 유심기변을 시도하거나 비정상적인 인증 절차를 시도하는 보안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사고 발생 경위 및 대응 조치
발생 시점: 2025년 4월 19일 오후 11시경
발생 원인: 해커에 의한 악성코드 감염으로 인한 일부 정보 유출 정황 발견
신고 및 대응:
4월 20일: KISA(한국인터넷진흥원)에 침해사고 신고
4월 22일: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유출 사실 정식 보고
악성코드 즉시 삭제, 해킹 의심 장비 격리
▶ 현재까지 유출 정보가 악용된 정황은 없음
▶ 전체 시스템 전수조사 및 비정상 인증 차단 강화 조치 시행
고객이 취할 수 있는 예방 조치
1. 무료 ‘유심보호서비스’ 가입하기
SK텔레콤은 고객들의 추가 피해 방지를 위해 무료로 유심보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이 서비스는 불법 유심기변 또는 비정상적인 인증 시도를 차단해 주는 역할을 하며, 가입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.
가입 링크: SKT 유심보호서비스 바로가기 또는 T월드, SKT 고객센터(114)에서 신청 가능
유심보호서비스 가입하기
*앱: https://skt.sh/oNa4b
*웹: https://bit.ly/42HIIgC
유심보호서비스 | T world
여기를 눌러 T world로 이동하세요.
m.tworld.co.kr
2. 본인 명의 휴대폰 점검하기
명의도용 여부 확인: PASS 앱 또는 이통사 홈페이지에서 인증내역 조회
최근 타지역에서 비정상 로그인 시도가 있었다면 즉시 신고
3. 피해가 의심될 경우 고객센터 문의
SK텔레콤 고객센터(080-800-0577)로 문의 시, 피해 내역 확인 및 보안 점검 요청 가능
유심 정보가 유출될 경우 생길 수 있는 문제
1. 불법 유심 기변
타인이 내 명의로 유심을 변경해 전화번호 도용 가능 OTP, 문자 인증 등 2차 인증 수단이 탈취될 수 있음
2. 금융 및 공공기관 인증서 탈취 위험
주민등록번호 없이도 휴대폰 인증으로 접근 가능한 서비스 증가
3. 소액결제, 스미싱 범죄
인증 정보를 이용해 무단 결제
지인 사칭 메시지 발송 및 금융피해 유발
SK텔레콤의 향후 대책
SKT는 재발 방지를 위해 아래와 같은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
1. 전체 시스템 보안 점검 및 재설계
2. 해킹 의심 장비 완전 격리
3. 유심 보안 기능 강화 및 기술 고도화
4. 고객 대상 알림 시스템 개선 (알림톡 등 실시간 고지)
5. 고객 피해 발생 시 보상 절차 마련 예정
이번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는 통신 서비스가 곧 개인 보안의 핵심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일깨워 줍니다. 특히, 중장년층 이상 사용자들은 휴대폰 명의 도용, 소액결제 피해 등에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어, 예방 조치를 꼭 취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.
지금 바로 유심보호서비스를 신청하고, 이상한 문자가 오면 열어보지 말고, 본인 명의로 다른 기기가 접속되었는지 자주 확인하세요.
관련 정보 빠르게 확인하기
유심보호서비스 신청: http://skt.sh/nUO7D
SKT 고객센터: 080-800-0577
명의도용 확인: 통신사 홈페이지 또는 PASS 앱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펫 보험] 반려동물 보호자가 꼭 알아야 할 사실 (0) | 2025.04.30 |
---|---|
공인중개사 임장비 유료화 추진 논란과 제도 도입의 현실성 (0) | 2025.04.26 |
12간지 동물 순서와 의미, 12간지 유래 총정리 (0) | 2025.04.23 |
MCP 프로토콜이란? 중개 플랫폼이 사라질 수도 있는 이유 (0) | 2025.04.21 |
리쥬란 시술, 실손보험 적용될까? 보험사기 될 수 있는 이유 (0) | 2025.04.19 |
댓글